
초식동물 마멋, 풀만 먹는 게 아닙니다
마멋(Marmot)은 다람쥣과에 속하는 대형 설치류로,
주로 알프스, 히말라야, 시베리아, 북미 고산지대 등 추운 지역의 초원과 산악 지대에서 서식합니다.
크고 통통한 체형과 귀여운 외모로 유명하지만,
긴 겨울잠을 대비한 철저한 식습관도 마멋의 생존 전략 중 하나죠.
이번 글에서는 마멋이 실제로 무엇을 먹고, 어떻게 섭취하며, 계절에 따라 먹이 습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구체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마멋의 식성은?
항목 내용
| 식성 | 초식성 중심의 잡식성 (대부분 식물, 드물게 곤충) |
| 주식 | 풀, 꽃, 씨앗, 잎, 줄기, 뿌리 등 |
| 간식 수준 | 곤충, 나무껍질, 열매, 이끼 등 소량 섭취 |
| 계절 변화 | 여름철 식욕 증가, 가을에 급격한 영양 비축 |
| 포식자 회피 | 먹이는 주변 풀밭에서 조용히 먹고, 위협 시 은신처로 빠르게 이동 |
마멋이 즐겨 먹는 대표 먹이 6가지
- 들풀과 풀잎
마멋의 주식으로, 카르페트처럼 펼쳐진 초원 위에서 다양한 풀을 뜯어먹습니다.
소화에 용이하며, 수분 공급도 동시에 가능하죠. - 야생 꽃과 꽃잎
여름철에는 다양한 고산 야생화를 뜯어먹습니다.
꽃은 탄수화물과 비타민 함량이 높아 빠른 에너지 공급원입니다. - 씨앗과 열매
영양 밀도가 높은 씨앗류는 마멋의 지방 축적에 도움을 줍니다.
특히 가을에는 씨앗 위주로 먹는 비중이 높아져 겨울잠 준비를 시작합니다. - 줄기와 뿌리
식물이 부족할 때는 풀이나 들꽃의 줄기, 뿌리까지 파먹는 행동을 합니다.
이는 먹이 부족한 고산지대에서 중요한 영양 공급원이 됩니다. - 곤충
드물게 작은 곤충이나 벌레를 섭취하기도 합니다.
주로 단백질 보충이 필요한 번식기나 성장기 개체에게서 관찰됩니다. - 이끼와 지의류
산악지대에서 식물 자원이 적을 때 이끼류도 훌륭한 식량이 됩니다.
물이 부족한 환경에서 수분 보충 역할도 톡톡히 합니다.
마멋 먹이 섭취 행동의 특징
행동 유형 설명
| 포식 시간 | 주로 이른 아침 또는 해 질 무렵, 온도가 낮은 시간에 활동 |
| 먹이 탐색 방식 | 서서히 이동하며 넓은 지역을 돌며 뜯어 먹음 |
| 경계 행동 | 먹으면서도 주위를 자주 살피며, 포식자 발견 시 고음 경고음 발생 |
| 저장 습성 | 먹이를 저장하지 않고, 몸에 지방을 축적해 겨울잠 준비 |
| 식사 빈도 | 여름철에는 하루 종일 먹으며 체중을 2배 이상 늘리는 경우도 많음 |
계절에 따른 마멋의 먹이 변화
계절 주요 먹이 특징
| 봄 | 풀잎, 연한 잎, 꽃 | 겨울잠에서 깬 직후, 부드러운 식물 위주로 섭취 시작 |
| 여름 | 풀, 꽃, 씨앗, 곤충, 줄기 | 활동량과 식사량 최대치, 에너지 집중 섭취 기간 |
| 가을 | 씨앗, 뿌리, 고열량 식물 | 겨울잠 대비, 지방 축적용 고칼로리 식이 선택 |
| 겨울 | 없음 (동면) | 먹이를 먹지 않고 체내 지방만으로 수개월 생존 |
마멋의 식성 특징 요약표
항목 특징 설명
| 식성 유형 | 초식성 중심의 잡식성 (95% 이상 식물) |
| 주요 섭취 식물 | 풀, 꽃, 잎, 씨앗, 뿌리, 이끼 등 |
| 식사 방식 | 하루 종일 천천히 뜯어 먹는 타입, 저장보다 체지방 축적에 집중 |
| 먹이 찾기 방식 | 넓은 범위 탐색, 경계하면서 이동식 식사 |
| 계절 변화 | 여름 폭식 → 가을 고열량 집중 → 겨울 동면 순환 반복 |
마멋은 단순히 풀만 뜯어먹는 초식동물이 아닌,
환경과 계절에 따라 식단을 바꾸고 생존 전략을 조정하는 고산 생태계의 생존 전문가입니다.
이들의 철저한 식습관 덕분에
4계절이 뚜렷하고 극한 환경이 많은 고지대에서도
무리 생활과 겨울잠을 성공적으로 이어가며 수천 년을 살아온 것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