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 셀커크 렉스는 페르시안×데본 렉스 러브스토리의 산물?!

곱슬 털 고양이의 전설, 유전자의 우연이 만든 사랑 이야기


곱슬거리는 양털 같은 털로 유명한 셀커크 렉스(Selkirk Rex).
하지만 이 사랑스러운 고양이가 ‘자연의 돌연변이’에서 태어난 게 아니라,
사실상 페르시안과 데본 렉스의 만남에서 비롯된 유전적 러브스토리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1987년 미국 몬태나주의 작은 보호소에서 시작된 이 품종은
우연과 과학, 그리고 브리더의 세심한 선택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유전자의 사랑 이야기’로 불립니다.
오늘은 셀커크 렉스가 어떻게 두 품종의 매력을 동시에 물려받은
하이브리드 고양이로 탄생했는지 그 놀라운 비화를 공개합니다.


1987년, 몬태나주에서 시작된 기적 같은 만남

모든 건 한 평범한 고양이 어미가 낳은 여섯 마리 새끼 중
유독 털이 곱슬거리는 단 한 마리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 새끼를 발견한 사람은 브리더 조디 뉴먼(Jeri Newman).
그녀는 이 고양이에게 ‘미스 디펩스(Miss DePesto)’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곱슬 털과 동그란 얼굴, 귀여운 눈빛을 본 순간,
조디는 이 고양이가 단순한 돌연변이가 아니라
새로운 품종의 시작이 될 거라 확신했죠.

그녀는 자신이 키우던 페르시안 수컷과 미스 디펩스를 교배시켰습니다.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태어난 새끼들 절반 이상이 곱슬털을 물려받은 겁니다.
이로써 곱슬털 유전자가 우성(dominant)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고,
셀커크 렉스의 탄생이 공식화되었습니다.


유전자의 러브스토리, 페르시안×데본 렉스

셀커크 렉스의 기원은 단순히 우연한 변이로 끝나지 않았습니다.
이후 품종의 외형과 성격을 안정화하기 위해
조디 뉴먼은 여러 고양이 품종을 계획적으로 교배시켰습니다.
그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품종이 바로 페르시안과 데본 렉스였습니다.

페르시안은 풍성한 모량과 둥근 얼굴형,
온화하고 느긋한 성격을 물려주었고,
데본 렉스는 곱슬거리는 털 구조와 장난기 많은 활발한 성격을 더했습니다.
결국 이 두 품종의 ‘유전적 러브스토리’가 만나
지금의 셀커크 렉스라는 완벽한 조화를 탄생시킨 셈이죠.

품종 /역할 /셀커크 렉스에 준 특징

페르시안 외모 안정, 풍성한 털, 온순한 성격 부드럽고 둥근 얼굴, 차분함
데본 렉스 곱슬 유전자 제공, 장난기, 활동성 곱슬털 표현, 유쾌한 성격
브리티시 쇼트헤어 균형감, 탄탄한 체형 근육질 몸매, 안정된 골격

이처럼 셀커크 렉스는 여러 품종의 장점을 섞은 결과물이지만,
그 중심에는 페르시안과 데본 렉스의 유전적 조화가 있습니다.


유전자 실험의 결과, ‘우성 곱슬 털’의 발견

다른 렉스 계열 고양이들인 데본 렉스나 코니시 렉스는
모두 열성 유전자 때문에 부모가 둘 다 곱슬 털일 때만 그 특징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셀커크 렉스는 달랐습니다.
한쪽 부모에게만 곱슬 유전자가 있어도 새끼에게 그대로 표현되는
‘우성 렉스’였습니다.

이 사실은 브리더들 사이에서 큰 충격이었고,
새로운 품종 유전학의 전환점으로 기록되었습니다.
결국 이 우성 유전자는 자연에서 발생한 돌연변이지만,
페르시안과의 교배를 통해 안정적인 품종으로 발전하게 되었죠.


천사의 퍼머, 부드러움 속 숨은 과학

셀커크 렉스의 털은 단순히 곱슬거리는 게 아니라,
털 한 올 한 올이 말려 올라가며 ‘양털 텍스처’를 형성합니다.
이는 단백질 케라틴 구조의 꼬임이 다르기 때문이며,
이 곱슬 구조가 바람을 머금어 털이 더 부풀어 오르는 효과를 냅니다.

그 덕분에 셀커크 렉스는
페르시안처럼 풍성하면서도 데본 렉스처럼 유쾌한 ‘천사의 파마’를 자랑하죠.

특징 /유전적 기원 /시각적 효과

곱슬털 데본 렉스 유전자 양털처럼 부드럽고 풍성
둥근 얼굴 페르시안 유전자 귀여운 인상, 안정감
부드러운 성격 페르시안 영향 차분하고 사람 친화적

‘퍼머미 고양이’의 성격은 의외로 느긋하다

외모는 화려하지만, 셀커크 렉스의 성격은 매우 평화롭습니다.
페르시안의 온화함과 데본 렉스의 유쾌함이 절묘하게 섞였기 때문이죠.
이들은 사람 곁에 있는 걸 좋아하고,
큰 소리를 내거나 과하게 활발하지 않습니다.
대신 장난감을 조용히 가지고 놀거나,
사람 옆에 붙어 꾹꾹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는 걸 즐깁니다.

그야말로 겉모습은 ‘양털 인형’,
속마음은 ‘따뜻한 친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품종 등록과 세계적인 인기

1990년대 초, 조디 뉴먼은 셀커크 렉스를 미국 고양이협회(CFA, TICA)에 등록했습니다.
그리고 1994년, 셀커크 렉스는 공식 품종으로 인정받았습니다.
그들은 렉스 계열 중에서도 가장 최근에 탄생한 신생 품종이지만,
그 인기는 폭발적이었습니다.
유럽, 일본, 한국 등지에서도 ‘파마 고양이’로 알려지며
사람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고 있죠.

그들의 매력은 단순한 외모를 넘어
“곱슬 속에 숨어 있는 온기”로 표현됩니다.


유전자의 조화가 만든 아름다움

셀커크 렉스는 단순한 인공 교배의 결과물이 아니라,
유전적 우연과 사랑스러운 조합이 빚어낸 자연의 예술입니다.
페르시안이 부드러움을 주었고,
데본 렉스가 개성을 불어넣었으며,
그 둘이 만나 탄생한 셀커크 렉스는
곱슬거림 속에서도 따뜻한 매력을 뿜어냅니다.

결국 셀커크 렉스의 탄생은
‘서로 다른 품종의 사랑이 만들어낸 새로운 생명’이라 부를 만한 이야기입니다.
1987년의 그 작은 만남이 지금까지도
전 세계 사람들에게 미소를 주고 있으니까요.